Centos 7 + Nginx + Tomcat 구축 및 설정Nginx 설치 및 설정naginx repository 생성vi /etc/yum.repos.d/nginx.repo : 아래 내용 생성 [nginx] name=nginx repo baseurl=http://nginx.org/packages/centos/7/$basearch/ gpgcheck=0 enabled=1Nginx 설치 명령어yum install nginx부팅시 자동실행 설정systemctl start nginxsystemctl enable nginxsystemctl status nginx방화벽 설정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80/tcpfirewall-cmd --permanent ..
제가 올린 글 정상 진행을 했다면 STS 설치 및 환경변수, Tomcat 설치까지 완료가 되었을 것이다. 완료되었다는 것으로 보고 그 다음으로 진행하겠다. - http://sksggg123.tistory.com/4 - http://sksggg123.tistory.com/5 - http://sksggg123.tistory.com/6 프로젝트를 생성한다. (프로젝트는 생성 절차는 생략하겠다.) STS를 실행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부분이 있다. 위의 No server are available. Click this link to create a new server를 클릭하여 다운받은 Tomcat을 설정 한다. 이렇게 하면 프로젝트를 서버에 연동은 된 것이다. 하지만 http://localhost:8080 으로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자바
- 개발환경
- Java
- 알고리즘
- sts
- centos
- 통합
- Tomcat
- 연동
- spring
- 환경변수
- 문제풀이
- 구축
- 설정
- Oracle
- 백준
- 백준 알고리즘
- LeetCode
- Eclipse
- CentOS7
- mysql
- jdk
- 통합개발환경
- IDE
- Algorithm
- Maven
- 리눅스
- 개발
- 서버
- 순열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